mobile background


저희 병원을 방문하시는 모든 진료 환자가

만족 하시는 순간까지 책임감 있는 진료를 보장합니다.

저희 병원을 방문하시는 모든 진료 환자가

만족 하시는 순간까지 책임감 있는 진료를 보장합니다.

mobile background
GYEYANG PLUS ORTHOPEDICS
어깨
석회화건염
석회화 건염이란 건에 석회질이 생겨 염증의 원인이 되고 딱딱해져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보통 어깨를 움직이지 못할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경험하게 됩니다. 어깨 통증은 모든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흔한 증상이라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어깨 통증으로 응급실을 찾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 바로 '석회화건염'입니다. 쉽게 말하면 석회화 건염은 어깨 관절에 돌 (석회)이 생기는 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석회화건염 증상
  • 어깨 관절 주위의 근육이 약화되거나 위축
  • 통증이 나타났다 사라졌다 반복
  • 어깨의 견봉이나 아래를 누르게 되면 통증이 심해짐
  • 밤잠을 잘 수 없을만큼 통증이 심함
  • 팔을 옆으로 들어 올리는 것이 힘듦

석회화건염 치료
치료는 석회의 위치와 그 발생 시기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집니다. 비수술요법으로는 약물요법, 물리치료, 체외충격파요법 등을 적용할 수 있고 증상이 심각한 경우나 호전되지 않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유착성활액막염(오십견)
오십견의 정식 명칭은 유착성 관절막염, 다른 명칭으로는 동결견으로 오십견이라는 명칭은 보통 50세를 전후로 나타난다고 해서 이러한 명칭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십견은 어깨의 통증과 더불어 어깨 관절이 굳어지면서 운동의 제한을 받게 되는 상태를 말하는데, 오십견의 유발인자로는 지속적 고정, 연령, 당뇨병, 외상 등이 있으나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가 더 흔합니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경우 5배 이상 발병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오십견 원인
  • 어깨의 지속적인 고정 상태
  • 퇴행성 변화 또는 당뇨병
  • 외상으로 인한 발병

오십견 증상
  • 어깨에서 통증이 시작되어 팔을 거쳐 손까지 아프기도 함
  • 어깨를 모든 방향으로 움직이기 어려움
  • 심각한 경우 약간의 자극에도 극심한 통증을 느낌

회전근개 증후군
회전근개란 어깨 관절의 회전운동 및 안정성을 유지하는 4개의 힘줄 극상근, 극하근, 견갑하근, 소원근을 통합해 지칭하는데 이 힘줄 가운데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파열되거나 손상되어 팔과 어깨에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회전근개 힘줄 파열입니다. 한번 파열되면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파열의 크기도 점점 커집니다. 파열이 광범위하게 커지면 회전근개의 원래 역할인 동적인 안정성이 무너져 어깨 관절이 위로 올라가 견봉과 맞닿게 되고 관절염이 발생합니다.

회전근개 손상 원인
  • 팔과 어깨의  운동량이 많은 경우
  • 선천적 이상 및 발육 부진
  • 퇴행성 변화
  • 어깨 근육의 갑작스런 무리한 활동
  • 회전근개 부분의 혈액순환 장애

회전근개 손상 증상
  •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가 다양합니다.
  • 야간에 통증이 더욱 심해져 잠들기 어렵습니다.
  • 팔을 올리면 통증이 있으나, 완전히 들면 통증이 사라지기도 합니다.

견관절 탈구
견관절 탈구란 어깨 관절의 위치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을 말합니다. 어깨 관절에서 견갑골 관절은 상완골두의 접촉 면적이 1/3정도이기 때문에 운동범위가 넓은 반면, 불완전 하다는 점이 있습니다. 어깨는 습관성 탈구가 잘 나타나는 부위로, 부딪치거나 갑자기 무리하게 힘을 준 경우에 나타납니다.

일단 탈구가 되면 양쪽 팔의 길이가 달라지고 탈구가 된 팔은 들어올릴 수 없게 됩니다. 골 결손이나 혈관, 신경 장애 등을 막기 위해 되도록 빨리 진단을 받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견관절 탈구 증상 
  • 어깨 관절이 빠지며 극심한 통증 발생
  • 팔을 움직일 수가 없는 상태
  • 탈구가 반복되면 탈구 시 통증은 점차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쉽게 탈구 됨

견관절 탈구 치료 
가능한 빨리 정복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늦으면 근육 경련이 생겨 정복이 어렵습니다. 빨리 정복을 해야 상완골두 호외측의 골결손을 줄일수 있고 혈관-신경 장애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슬랩병변
보통 젊은 남성, 주로 스포츠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잘 발생함으로 운동선수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질환이었으나, 요즘에는 헬스클럽을 이용하거나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일반인에게도 많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팔을 회전시킬 때 들리는 소리와 통증, 어깨가 빠지는 듯한 느낌 등이 있습니다. 보통 통증이 심하지 않아 크게 불편을 느끼지 못해 그냥 넘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슬랩병변 증상
  • 팔을 어깨 위로 들어 올려 뒤로 돌릴때, 걸리는 느낌이 들면서 통증이 발생
  • 팔을 앞쪽과 옆쪽으로 움직일 때는 괜찮으나 등 뒤로 돌릴 때 통증이 심함
  • 어깨가 빠질 것 같은 불안감이 생김

슬랩병변 치료
치료는 우선 약물과 물리치료를 시행하다 호전 없으면 관절내시경 수술 적용 약물요법이나 물리치료 등을 통해 보존적 치료를 시도할 수도 있습니다. 그 후에도 호전되지 않으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불안정한 부분은 번역절제를 하여 안정성을 유지하거나 불안정한 경우 봉합나사를 이용한 봉합수술로 비교적 간단하게 치료될 수 있습니다.

치료 후에는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아도 주의해야 합니다. 

계양플러스정형외과

인천 계양구 장제로 718 상록메디컬센타

Business Lincense 637-92-01830

Tel 032-543-9114   Fax 032-543-9112

Hosting by All One Care

계양플러스정형외과

인천 계양구 장제로 718 상록메디컬센타 2층

Business Lincense 637-92-01830   Tel 032-543-9114   Fax 032-543-9112

Hosting by All One Care